OSI 7 계층 모형::네트워크

2020. 6. 26. 17:45computer science/network

1. OSI 참조 모형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

 

 국제표준화기구(ISO :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입니다. 일반적으로 OSI 7 계층 모형이라고 합니다.

 

 

2. 7 계층으로 나눈 이유

 

 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단계별 흐름과 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흐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.

 7단계 중 특정한 계층에 이상이 생긴다면 다른 단계의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만지지 않고, 이상이 생긴 단계만 다루면 되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 

 하지만, 모든 네트워크 기술이 OSI 7 계층에 맞추는 것은 아닙니다.

 

 

3. 계층별 특징

 

계층 특징 통신 단위 장비 / 프로토콜
L7
응용 계층
(Application Layer)
-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해 일반적인 서비스를 수행합니다.
-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UI 부분, 사용자의 입출력(IO) 부분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.
message HTTP,
FTP,
HMTP,
POP3,
IMAP,
Telnet
L6
표현 계층
(Presentation Layer)
-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과 암호화를 제공합니다.
-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해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응용 계층의 부담을 덜어줍니다.
- 해당 데이터가 text 파일인지 jpg, gif 파일인지 구분합니다.
message MIDI,
MPEG,
JPED,
EBCDIC,
ASKII
L5
세션 계층
(Session Layer)
-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으로 연결합니다.
- 응용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세션 설정, 유지, 복구 등의 기능을 합니다.
- 동시 송수신(Duplex) 방식, 반이중(Half-duplex) 방식, 전이중(Full Duplex) 방식을 제공해 통신합니다.
message  
L4
전송 계층
(Transport Layer)
- TCP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포트를 열어줍니다.
- 연결 기반으로 양 끝단(End to End)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.
- 오류 검출 및 복구, 흐름제어, 중복검사 등을 진행합니다.
- TCP(신뢰적인 전송 보장)와 UDP(실시간 응용 및 멀티캐스팅 가능)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
segment TCP,
UDP
L3
네트워크 계층
(Network Layer)
- 데이터의 경로를 선택해 주소를 정하고,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합니다.
-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(QoS)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적, 절차적 수단을 제공합니다.
- IP 계층(IP packet의 전달, 라우팅 담당)과 IP 프로토콜(TCP/IP 기반의 인터넷 망을 통해 datagram 전달 담당)을 이용해 인터넷을 가능하게 만듭니다.
packet,
datagram
ARP,
ICMP,
IGMP
L2
데이터 링크 계층
(Data Link Layer)
-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정보의 흐름과 오류를 제어해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합니다.
- 통신 오류를 검출하고, 재전송하는 기능을 가집니다.
- Mac Address로 통신합니다.
frame 브리지,
스위치
L1
물리 계층
(Physical Layer)
- 전기적, 기계적인 특성만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- 1(on)과 0(off)로 나타내어 집니다.
- 데이터가 무엇인지, 어떤 에러가 있는지 전혀 신경쓰지 않고, 단지 데이터만 전달합니다.
bit 통신 케이블,
리피터,
허브